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높은 금리 속 기회 찾는 법] 다시 돌아온 채권투자…유연한 관리 중요

2025년 채권 시장은 꽤 흥미로운 국면에 진입했다. 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경제 지표는 상반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채권 시장이 주는 기회는 무시하기 어렵다. 단, 단순히 ‘금리가 높으니까 사자’는 접근은 통하지 않는다.       ▶금리의 시대, 이제부터 진짜 시작   지난 몇 년간 채권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의 잊혀진 자산이었다. 금리는 낮고, 수익은 없고, 위험 요소만 남아 있었다고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 상황이 다르다. 10년 국채 수익률은 4% 중반대를 유지 중이고, 투자등급 회사채도 5% 이상 수익률이 나오는 구간에 들어섰다. 고수익채(High Yield)는 7~8%대까지 올라왔다.   문제는 스프레드(추가 수익)가 좁다는 점이다. 신용 리스크를 감수하는 대신 받을 수 있는 스프레드가 역사적으로 낮은 편이라는 얘기다. 결국, 지금 채권 투자는 “무작정 금리 높은 걸 사자”가 아니라, “리스크 대비 합리적인 수익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에 집중해야 한다.   ▶액티브 전략의 부활   2025년 채권 투자의 핵심 키워드는 ‘액티브(Active)’다. 인덱스나 패시브 펀드에 ‘올인’하던 시대는 잠시 뒤로 미뤄도 될 듯하다. 지금은 섹터 간 격차가 크고, 수익률 곡선은 비정상적이며, 경제 불확실성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이럴 땐 수익을 낼 수 있는 채권을 선별해서 담고, 필요하면 조정하고, 포트폴리오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먼저 기업채(Corporate Bonds)를 생각해볼 수 있다. 양질의 투자등급 채권 중심으로 구성하면 스프레드는 좁지만, 기본 수익률은 매력적인 채권 군이다.     자동차 대출 등 소비자 신용 기반 섹터에서 기회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자산유동화증권(ABS)도 고려할 만하다. 상업용 모기지(CMBS)는 안정적인 등급 위주로 구조화해 수익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   ▶채권 유형별 흐름   투자등급(Investment Grade) 기업채는 현재 5% 내외의 수익률을 제공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들의 재무 건전성은 전반적으로 개선됐고, 이익률도 회복된 상태다.     다만 주의할 점은 스프레드(국채 대비 추가 수익률)는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이는 신용 리스크를 감수한 만큼의 추가 보상이 적다는 뜻이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는 기업 펀더멘털이 탄탄한 ‘우량 채권’ 위주로 선별 투자하는 게 핵심이다.   자산유동화증권의 경우 대표적인 것이 자동차 대출이나 신용카드 채권을 기반으로 한 ABS다. 소비자 대출을 묶어 만든 구조화 채권인데 현재 국내 소비자들의 대출 상환율은 팬데믹 이전보다 다소 낮아졌고, 연체율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그런데도 전반적인 소비자 신용은 아직 건전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신용 여건이 악화하면 소비자 기반 ABS의 수익률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실업률 상승, 가계 소비 위축, 대출 연체율 증가 같은 경제 지표도 주의 깊게 봐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업용 모기지 채권(CMBS, Commercial Mortgage-Backed Securities)에 주목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이 섹터를 꺼리는 분위기도 있다.     하지만 이 안에서도 AAA 등급 위주의 고신용 물건만 선별한다면 리스크를 관리하면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MBS는 일반적으로 대형 쇼핑몰, 오피스 빌딩, 물류센터 등의 대출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데 리스크는 대출 담보 자산의 가치와 현금흐름에 매우 민감하다. 최근 오피스 시장의 침체로 인해 CMBS 전체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된 건 사실이지만, 물류, 산업용 부동산 등은 여전히 안정적인 임대 수익과 낮은 공실률을 유지 중이다. 이처럼 섹터 내에서 질 좋은 대출 기반을 갖춘 CMBS는 시장 과민 반응 덕분에 오히려 수익률이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   요약하자면 기업채는 ‘너무 좁은 스프레드’가 리스크이긴 하지만, 펀더멘털 우량 종목 위주로 선별하면 여전히 괜찮은 캐시플로우 자산이 될 수 있다. ABS는 소비자 신용의 미세한 균열을 고려해도 우량 차주 기반이라면 비대칭적인 수익-위험 구조를 노릴 수 있다. CMBS는 부정적인 시장 정서 속에서도 고신용 물건 중심으로 선별한다면 오히려 저평가된 채권을 잡을 수 있는 시기가 될 수 있다.   ▶머니마켓 펀드   2024년 말 기준, 국내 머니마켓펀드 규모는 무려 7조 달러를 넘겼다. 금리 높은 예금, CD, 단기채 등이 인기를 끈 결과다. 단기적으로는 나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기회를 잃는 선택일 수도 있다.   왜냐면 향후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하면 머니마켓 수익률은 같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금리가 원치 않는 수준으로 떨어진 다음 다시 장기채로 옮기려 해도 그때의 채권값은 다시 비싸졌을 가능성이 크다.     결국 안전성에만 집착하다 기회를 다 놓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는 포트폴리오 전체 안에서 이른바 ‘안전자산’ 활용법에 대한 고민이다. 포트폴리오 전반의 구성과 운용에 대한 전략 안에서 적용해야 할 부분이다.   ▶채권을 다시 꺼내 볼 타이밍   2025년은 금리 예측 게임을 하려는 해가 아니다. 지금 필요한 건 리스크 대비 수익률(Risk-Adjusted Return)을 높이는 전략으로 가야 하는 시기다. 현 수익률은 충분히 매력적이지만 시장은 더는 쉽게 예측할 수 없는 환경이다.     결국 액티브한 분산 전략과 유연한 리밸런싱이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채권은 단지 ‘안정적인 자산’만이 아니라, 제대로 다루면 포트폴리오의 핵심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   켄 최 아피스 자산관리 대표 kchoe@apiis.com높은 금리 속 기회 찾는 법 채권투자 유연 국채 수익률 수익률 곡선 기본 수익률

2025-03-25

[한국은행 칼럼] 금리차 축소와 경기 침체

“미국 장기국채와 단기국채 간 수익률 격차가 수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좁혀졌다(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졌다). 만약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면 경기침체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요즘 이처럼 장단기 금리차 축소 관련된 뉴스들을 심심치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수익률 곡선이 평탄화되었다거나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 또는 역전된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누군가에게 1년간 돈을 빌려줄 때와 10년간 빌려줄 때를 가정해 본다면 당연히 오랜기간 돈을 빌려줄 때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할 것이다. 왜냐하면 10년간 돈을 빌려줄 경우 1년간 빌려줄 경우보다 훨씬 오랜 기간 돈을 묶어놓아야 하고 그만큼 더 오래 각종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채권도 이와 마찬가지여서 일반적으로 채권 수익률(금리)은 만기가 길수록 높아진다. 만기가 긴 채권 수익률에서 만기가 짧은 채권 수익률을 차감한 것을 장단기 금리차라고 하는데 앞서 살펴본 이유로 이는 일반적으로 양(+)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수익률 곡선인데 수익률 곡선의 가로축(X)은 채권 만기, 세로축(Y)은 채권 수익률을 나타낸다.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수익률 곡선은 통상 오른쪽 위로 올라가는(우상향) 모양을 가진다.   서두에서 “미 국채 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졌다”라는 의미는 이 곡선의 기울기가 평평해졌다는 뜻이며 다른 말로 장단기 금리차가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이러한 수익률 곡선은 예외적으로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다는 의미이고 장단기 금리차가 음(-)이 되는 경우이다. 우리는 이를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고 부른다.    이제 이러한 수익률 곡선이 어떤 이유에서 평평해지거나(장단기 금리차 축소) 일반적으로 우상향하는 곡선이 반대로 우하향하게(장단기 금리차 역전) 되는지를 살펴보자. 장·단기 금리는 앞서 말한 것처럼 만기에 따라 결정되기도 하지만 채권의 수요와 공급 등 여러 다른 원인에 의해 변할 수도 있고 이것이 수익률 곡선의 모양에 또 다른 영향을 주게 된다.     우선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크게 좌우된다. 미 연준이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이 시중의 단기금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이 거의 통제할 수 있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     한편 장기금리는 단기와 달리 중앙은행이 쉽게 통제하기가 어렵다. 장기금리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보다는 미래의 경기상황과 금리에 대한 시장참가자들의 기대에 크게 좌우된다. 시장참가자들이 미래 경기상황을 낙관적으로 본다면 금리가 오를 것이라고 기대할 것이다.    반대의 논리로 미래에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한다면 금리도 낮아질 것이라고 기대할 것이다.    최근 미 국채의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되면서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장단기 금리차 축소가 나타나는 것은 단기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는 반면 장기금리는 상대적으로 더디게 오르는데 주로 기인한다.    이처럼 장단기 금리차 축소나 수익률 곡선의 평탄화 현상은 과거의 경험상 일반적으로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라고 보기는 어렵다. 높은 물가상승세 지속에 따른 단기금리의 급등과 경제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장기금리의 더딘 상승의 복합적인 결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국의 경제여건은 여전히 양호한 모습인 데다 수익률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채권 수급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장단기 금리차 축소현상을 경기침체의 전조로 단순하게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구자천 / 뉴욕사무소 차장한국은행 칼럼 금리차 축소 금리차 축소 장단기 금리차 수익률 곡선

2022-04-05

[투자의 경제학] 경기침체 경고음

증권가에서 경기침체의 경고음으로 가장 관심 있게 보는 지표는 2년 만기 연방 국채와 10년 만기 연방 국채의 수익률 곡선(Yield Curve)이다.     국채의 수익률은 통상적으로 채권 만기 기간이 길수록 수익률이 높고 짧을수록 낮아진다.     은행에서 CD의 가입 기간이 길수록 이자율을 높은 것과 같은 맥락이다.     단기(2년) 국채 수익률이 장기 국채(10년) 보다 더 높아지는 특수한 경우를 인벌티드 일드 커브(Inverted Yield Curve)라고 하는데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에 따르면 1955년 이후 경기 침체에 접어들기 전 매번 빠짐없이 인벌티드 일드 커브(Inverted Yield Curve)가 나타났었다고 한다.     지난 29일 장중에 2년 만기 수익률이 잠깐 10년 만기 수익률을 역전하며 수익률 곡선이 뒤집어졌다.     물론 수익률 곡선이 역전한 다음 바로 경기침체가 일어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보통 수익률 역전 후 12개월 정도 후에 경기침체가 일어났었기 때문에 2007년도 시작된 경기침체 때는 2005년도부터 국채수익률이 역전되어 있었기 때문에 당시에 혹시 이번에는 틀렸나 하고 많이들 갸우뚱하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번에는 수익률 차이의 좁힘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처럼 보인다. 일년 전만 해도 2년물과 10년물의 수익률 차이가 1.5%였으니 얼마나 가파르게 2년물의 수익률이 상승했는지 알 수 있다.     참고로 단기 채권의 수익률은 금리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장기 채권은 중장기 경제 전망에 따라 움직인다고 볼 수 있다.     수익률 곡선만을 의지해서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경제 지표를 굳이 보지 않아도 당장 외식이나 마켓에서 쇼핑만 해도 물가가 얼마나 무섭게 오르는지 알 수 있다. 물가 상승은 소비 위축으로 연결되고 소비 위축은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는 소비자지출에 영향을 주며 특히 물가상승을 고려한 실질적인 GDP(Real GDP)에 악영향을 미치리라는 것은 경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상식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아직은 인벌티드 일드 커브(Inverted Yield Curve)가 증시에서의 일시적인 현상으로 경기침체의 전조인지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투자자들은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고 나서 경기침체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가 단 한 번밖에 없었음을 상기하고 경기침체 시에도 잘 견딜 수 있는 포트폴리오 점검이 필수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비료 부족 현상까지 있다니 물가가 안정될 전망은 아직 어두워 보인다.   ▶문의: (213)221-4090 김세주 / Kadence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경기침체 경고음 경기침체 경고음 국채 수익률 수익률 곡선

2022-03-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