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칼럼] 금리차 축소와 경기 침체
“미국 장기국채와 단기국채 간 수익률 격차가 수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좁혀졌다(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졌다). 만약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면 경기침체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요즘 이처럼 장단기 금리차 축소 관련된 뉴스들을 심심치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수익률 곡선이 평탄화되었다거나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 또는 역전된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누군가에게 1년간 돈을 빌려줄 때와 10년간 빌려줄 때를 가정해 본다면 당연히 오랜기간 돈을 빌려줄 때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할 것이다. 왜냐하면 10년간 돈을 빌려줄 경우 1년간 빌려줄 경우보다 훨씬 오랜 기간 돈을 묶어놓아야 하고 그만큼 더 오래 각종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채권도 이와 마찬가지여서 일반적으로 채권 수익률(금리)은 만기가 길수록 높아진다. 만기가 긴 채권 수익률에서 만기가 짧은 채권 수익률을 차감한 것을 장단기 금리차라고 하는데 앞서 살펴본 이유로 이는 일반적으로 양(+)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원리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수익률 곡선인데 수익률 곡선의 가로축(X)은 채권 만기, 세로축(Y)은 채권 수익률을 나타낸다.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수익률 곡선은 통상 오른쪽 위로 올라가는(우상향) 모양을 가진다. 서두에서 “미 국채 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졌다”라는 의미는 이 곡선의 기울기가 평평해졌다는 뜻이며 다른 말로 장단기 금리차가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이러한 수익률 곡선은 예외적으로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다는 의미이고 장단기 금리차가 음(-)이 되는 경우이다. 우리는 이를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고 부른다. 이제 이러한 수익률 곡선이 어떤 이유에서 평평해지거나(장단기 금리차 축소) 일반적으로 우상향하는 곡선이 반대로 우하향하게(장단기 금리차 역전) 되는지를 살펴보자. 장·단기 금리는 앞서 말한 것처럼 만기에 따라 결정되기도 하지만 채권의 수요와 공급 등 여러 다른 원인에 의해 변할 수도 있고 이것이 수익률 곡선의 모양에 또 다른 영향을 주게 된다. 우선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크게 좌우된다. 미 연준이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이 시중의 단기금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이 거의 통제할 수 있다고 봐도 무리가 없다. 한편 장기금리는 단기와 달리 중앙은행이 쉽게 통제하기가 어렵다. 장기금리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보다는 미래의 경기상황과 금리에 대한 시장참가자들의 기대에 크게 좌우된다. 시장참가자들이 미래 경기상황을 낙관적으로 본다면 금리가 오를 것이라고 기대할 것이다. 반대의 논리로 미래에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한다면 금리도 낮아질 것이라고 기대할 것이다. 최근 미 국채의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되면서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처럼 장단기 금리차 축소가 나타나는 것은 단기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는 반면 장기금리는 상대적으로 더디게 오르는데 주로 기인한다. 이처럼 장단기 금리차 축소나 수익률 곡선의 평탄화 현상은 과거의 경험상 일반적으로 경제에 긍정적인 신호라고 보기는 어렵다. 높은 물가상승세 지속에 따른 단기금리의 급등과 경제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장기금리의 더딘 상승의 복합적인 결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국의 경제여건은 여전히 양호한 모습인 데다 수익률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채권 수급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장단기 금리차 축소현상을 경기침체의 전조로 단순하게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구자천 / 뉴욕사무소 차장한국은행 칼럼 금리차 축소 금리차 축소 장단기 금리차 수익률 곡선